카테고리 없음

티끌 모아 태산. (효율적인 방법을)

멋째쟁이 2024. 4. 2. 10:17

먼지나 티 등 매우 작고 가벼운 물질. ‘먼지’, ‘흙’등으로도 번역된다. 성경에서는 하나님께서 땅의 티끌로 인간을 만드셨다고 했고, 사람이 죽으면 티끌로 돌아간다고 했다(창 3:19; 욥 10:9; 시 90:3).

특히, 티끌은 비유적으로 가치 없고 사소한 것, 혹은 엄청난 숫자의 양을 상징한다. 그 외에도 성경에서는 인간의 죽을 운명을 상징하고, 이 땅의 인생들을 티끌과 같은 무가치하고 허무한 존재라 했다(욥 2:12; 4:19; 10:9). 또한 영광의 쇠락, 무력함, 심판과 복종, 멸절, 무덤, 하나님의 능력등을 상징하는 데 쓰였다.

한편, 티끌에 앉는 것은 자기를 부인하는 행위요, 자신의 허물과 죄를 회개하는 참회자의 지극히 겸손한 자세인 동시에 지극한 굴욕으로 간주했다. 그리고 티끌을 날리는 것은 저주와 분노와 슬픔을 상징했다. 또 발에서 티끌을 털어내는 것은 관계의 단절이나 거절을 의미하는 상징적인 행동이었다(마 10:14; 행 13:51; 22:23).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작고 보잘것없는 것이라고 하찮게 여기지 마세요. 돼지 저금통에 동전 한 닢 한 닢을 모아 큰돈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작은 것도 모이고 모이면 커다란 가치를 가지는 법이랍니다.    

목표를 빨리 달성하고자 자신의 일상을 고려하지 못한 과도한 시간 투여를 하게 되면 매일 해내지 못하고 금방 지쳐서 이 역시 중간에 포기하게 되는 요인이 됩니다.

목표 달성을 위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은, 매일 작은 시간을 목표한 일로 반복하여 채우는 것입니다.

처음 시작은 티끌 같은 10분에서 최소 1년 이상 꾸준히 한다면 태산 같은 목표를 손에 넣을 수 있습니다.    

2분 규칙  새로운 습관을 시작할 때 그 일을 2분 이하로 하라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제임스 클리어 지음.      

좋은 습관을 만들려면 얼마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까요.

목표 의식 하루에 할 수 있는 것을 5가지를 선정한다. 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해야 한다.

1) 새벽에 일어난다.(4시 30분, 5시, 5시 30분)

2) 운동을 한다(헬스, 에어로빅 이런 거창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누워서 할 수 있는 것, 앉아서, 서서 할 수 있는 것을 정한다)    

3) 외국어를 공부한다(단어 10개, 문장 2줄 암기)    

4) 칭찬하는 습관, 좋은 일, 남을 도와주는 것(God bless you)을 정해서 1일 1가지씩 한다.    

5) 저녁이나 밤에 자는 시간을 일정하게 한다.

좋은 습관을 들이는 방법은 다이어리에 ○, ×를 만들어 표시를 하고 그것을 매일 본다. 이행한다

○표가 일주일에 4회 이상은 되어야 한다. 자기 만에 다이어리를 만들어라. 시간은 다 똑같다.

얼마나 내가 나의 일과에 맞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초간단(1~5분), 간단히 할 수 있는 것(5~10분), 중간 단계에 할 수 있는 것(공부, 운동 30분~1시간)을 구분해서 목표를 정하자.

남에게 God bless you, 당신을 축복한다는 말 Have a nice day 좋은 하루를 보내세요 등과 같은 것을 한 가지 목표로 잡자. 아주 간단하지 않은가. 보는 사람마다 한다. 자연적으로 자신감이 차고 넘친다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운동을 하러 나가면, 뛰는 사람들을 보면서 감탄을 하게 됩니다. 운동을 한다는 건 분명 자기 건강관리에 관심이 있다는 증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서 예전에 읽었던 일만 시간의 법칙 책이 생각이 났습니다

뭐든 두 달만 하면 습관이 된다고 하셨는데.. 뭐든 시작하면 되지만 그것을 꾸준히 유지하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래도 뭐든 실행하려는 마음 ,, 실천하는 마음,, 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시작이 반이라는 말 그리고 시작하고 또 유지를 못해서 작심삼일이라는 말도 있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에게는 공평한 것이 있습니다. 숨을 쉬는 공기를 마시는 양, 햇빛의 따사로움을 느낄 수 있는 것, 드높고 청명한 하늘과 푸르른 녹색의 숲과 강과 바다를 볼 수 있는 시각,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것, 그리고 시간은 모두 공평하게 24시간입니다. 이 24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부자가 될 수도 있고, 성공이라는 다른 것을 영휘하게 됩니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자격증의 시험공부를 하게 되면 아래의 시간에 따라서 합격의 판가름이 납니다.

6개월 ×30(일) ×6시간=1,080시간,
6개월 ×30(일) ×5시간=900시간,
6개월 ×30(일) ×4시간=720시간,
6개월 ×30(일) ×3시간=540시간

6개월간 하루에 6시간씩 공부한 사람은 한 번에 합격을 한다. 6개월간 3시간 공부한 사람은 합격할 수도 있고, 떨어질 수도 있다. 그러면 18개월을 1시간씩 공부한 사람은 어떻게 되겠는가. 떨어질 확률이 매우 높다. 시간과 공부의 효율은 집중과 단기간이다. 기간이 길면 흐지부지해진다.

티끌이 모여 태산이 되려고 하면, 부단히 꾸준히 모아야 한다. 효율성 있는 방법으로 하려고 하면 교회에서 사순절 기간의 출석을 도장을 찍어 주고 상패를 만들어 준다. 예배를 사모하기 위해서 이다. 새벽 4시 30분 전까지는 무조건 일어나야 한다. 나만의 약속에 메어야만이 티끌도 태산이 된다.

무엇이든지 꾸준하게 행하여야 한다. 만 시간의 법칙으로 성공한 사람을 분류하면 하루에 10시간씩 365일 동안 3년을 꾸준히 하면 10,950 시간이다. 성공을 못 할 수가 없다고 본다. 3년간 꾸준히 할 수 있는 간단한 것부터 찾아보자.